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야외에서 여럿이 춤추는 '광장무'입니다.<br> <br>중국 노년층에겐 일상 취미인데요.<br> <br>최근 이 광장무 때문에 세대 간 갈등이 번지고 있습니다.<br> <br>세계를 가다 베이징 이윤상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중국 베이징의 한 공원. <br> <br>이른 아침부터 중국 전통 의상을 입은 여성들이 음악에 맞춰 춤을 춥니다. <br> <br>다른 장소에서도 삼삼오오 짝을 지어 춤을 춥니다. <br> <br>이들이 추는 춤은 넓은 광장에서 함께 즐기는 이른바 ‘광장무’로 주로 나이 든 사람들이 즐깁니다.<br> <br>도심 공원 등에서 오전부터 시작된 광장무는 해가 진 뒤에도 멈추지 않습니다. <br> <br>[베이징 주민 / 75세] <br>"젊어지는 것 같고 심장 뇌혈관 질환도 완화되고, 기분도 좋아져요." <br> <br>하지만 최근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추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. <br> <br>한국의 ‘국립묘지’와 비슷한 영웅열사 묘역에서 단체로 춤을 추는가 하면 공항 안에서도 갑자기 음악을 틀어놓고 광장무를 즐기는 등 민폐가 되기도 합니다. <br> <br>도로를 무단 점거하고 춤을 추다가 교통사고까지 나는 등 안전 문제까지 야기합니다. <br> <br>[중국인 A 씨] <br>"분노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올랐어요. 아무도 제지하지 않고, 그 사람들은 안하무인이네요." <br> <br>특히 스피커로 음악을 크게 틀다보니 소음 등의 문제로 이웃 주민과의 갈등은 곳곳에서 벌어집니다. <br> <br>두 달 전에는 참다 못한 주민이 흉기로 스피커를 부수는 영상이 SNS에 공개돼 화제가 됐습니다. <br> <br>자녀 학업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항의하는 학부모와 주먹다짐을 벌이기도 합니다. <br> <br>[중국인 B씨] <br>"오후 9시가 넘어서 광장무를 추는건 인근 주민들의 휴식을 방해하는 거죠." <br> <br>최근에는 광장무가 세대 갈등의 요소가 됐습니다. <br> <br>중국의 젊은 MZ 세대를 중심으로 광장무를 구시대적 산물로 보는 시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들은 은퇴 세대의 '민폐 취미'가 달갑지 않은 겁니다. <br> <br>[중국인 C씨] <br>"청년들은 직장 구하기 어렵고, 직장인은 야근도 많이하고, (광장무 소음에) 쉬지도 못하잖아요." <br> <br>[중국인 D 씨] <br>"(부적절한 장소와 시간의) 광장무는 사실 민폐에요." <br> <br>중국 정부는 2017년 광장무 소음 등 야외 활동으로 인한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없어 오히려 세대 갈등만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 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강민<br /><br /><br />이윤상 기자 yy27@ichannela.com